안녕하세요 :D 날이 점점 더워지면서 벌써 에어컨을 트는 가정이 있어요. 저도 에어컨을 틀고 선풍기도 같이 틀어놔야 어느 정도 시원하다고 느껴지게 되어서 벌써 여름이구나 해요. 그러면서 걱정되는 것이 당연히 전기세! 누진제에 대한 걱정도 커서 어떻게 하면 절약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는데요.
오늘 같은 고민으로 걱정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과 누진제의 개념을 알아보고 관련해서 전기세 폭탄을 맞지 않는 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해요. 더운 날 꼭 사용해야 하는 전자제품이라서 어떻게든 절!약! 하는 것만이 방법이랍니다.
그러니 오늘 잘 알아가셔서 활용해보시고 부담을 내려놓으시면 좋겠어요*^^*
|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1) 적정 온도를 유지해요!
밖이 덥다고 해서 실내 온도를 너무 낮춰버리게 되면 밖과 안의 온도차이 때문에 전력이 낭비될 수 밖에 없어요. 여름에 적정 실내온도는 26~28도이기 때문에 여기에 맞추어서 설정해두는 것이 필요해요. 특히 처음 가동을 하게 될 때 전력이 가장 많이 소비되니까 처음부터 낮은 온도를 설정하고 희망 온도로 재빠르게 낮춘 이후에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팁!
(2) 선풍기를 활용해요!
선풍기와 함께 사용을 하게 되면 냉방의 기능이 업이 될 수 있어요. 그렇게 되면 전기세도 30% 정도 줄일 수 있다는 사실! 특히 바람이 나오는 방향대로 선풍기를 둔다면 멀리까지 바람이 가서 넓은 범위로 시원해질 수가 있어요. 최근 이런 목적으로 서큘레이터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죠!
(3) 내부(필터)를 청소해요!
필터에 오염물질이 쌓여있는 경우에 내부 공기를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전기를 소비하게 해요. 그러니 이를 청소해준다면 냉방의 효율도 높아지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답니다. 당연히 사용한 요금도 낮아지게 될 수 있어요.
(4) 송풍기능 활용, 외출 시 코드 뽑아요!
전원을 끄기 전에 15분~20분 정도 송풍기능을 작동하게 되면 내부에 습기도 제거해주고 깨끗한 사용을 할 수 있어요. 내부에 습기가 머무르게 되면 꿉꿉한 냄새가 나게 되니까 활용해보세요. 또한 대기전력으로 인해서 낭비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코드를 뽑는 것을 추천해요. 그렇게 되면 약 5천원 에서 8천원 정도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이 될 수 있어요! 특히 여름휴가를 가게 될 때에는 특히나 코드를 뽑아주시는 것이 좋겠죠 :)
(5) 실외기 및 주변환경을 관리해요!
적절한 주기에 맞추어서 실외기 공기 배출구 주변으로 먼지를 비롯한 오염물질, 장애물 등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해요. 그리고 실외기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어야 절약이 가능하답니다. 실내에서는 커튼과 블라인드 등을 활용해서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햇빛을 차단해줄 수 있어야 해요. 그래야 냉방기능을 더욱 잘 느낄 수 있으니까요. 주변 환경을 관리하는 것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해요.
| 누진제 개념을 알아봐요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을 알아보려면 꼭 체크해야 하는 부분인데요. 이는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높은 단가가 적용되는 요금제를 뜻해요. 특히 여름에 전력량 소비가 많은 것을 감안해서 하계에 완화된 요금구간을 적용하고 있는데요. 이는 요금의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전력사용량을 줄이려는 목적이랍니다.
이를 통해서 고소독층의 경우 전기를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더 많이 요금을 내어서 사회적 형평성도 도모한다는 것인데요. 하지만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어서 확실하게 정리해두어야 한답니다. 이는 여러 개편을 통해서 2019년 누진구간 그리고 요금에 대한 조정과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었는데요.
1구간 : 200kWh이하 -> 300kWh 이하 (요금 93.3원)
2구간 : 201~400kWh -> 301~450kWh (요금 187.9원)
3구간 : 400kWh초과 -> 450kWh초과 (요금 280.6원)
이렇듯 바뀐 부분을 확인하셔야 하고 할인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3자녀, 3손자녀'의 경우 월 요금의 30% 할인이 적용됩니다. 또한 '차상위계층(심야전력)' 신청을 하면 월 8천원 한도(여름철 1만원 한도) 감액이 됩니다. '자동이체' 할인도 있는데요. 정상 신청 접수가 되면 약 26일 후 도래되는 납기일 요금부터 자동이체가 개시되며 1%(1천원 한도)할인이 됩니다. 이런 제도로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을 실천해주시는 것을 추천해요'-'bb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 뽀독뽀독 깨끗하게 세척하는 방법 알아보세요! (0) | 2022.06.15 |
---|---|
노약자, 임산부, 환자가 있다면 119 안심콜 서비스 신청해요! (0) | 2022.06.12 |
공기청정 식물 종류와 관리방법♥ (0) | 2022.06.03 |
곰팡이 예방과 제거하는 방법 활용해보세요 (0) | 2022.05.29 |
장애인 주차구역 과태료 및 신고방법 알아봐요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