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 이제 날이 점점 더워지면서 벌써 에어컨을 가동하는 집도 있고 그래요. 그런데 더위가 오게 되면 다른 문제도 걱정하게 되는데요. 바로! 곰.팡.이! 습기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장마까지 더해지게 되면 곰팡이가 만들어지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만약 가정 안에서 이런 부분이 심화된다면 피부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곰팡이 균이 돌아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서 신체로 유입이 되어서 질환에 노출이 되도록 하기도 하는데요. 단순하게 가정의 미적인 부분이나 청결함 등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넘어서 건강까지도 위협하는 요소라서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두어야 하고 만약 생겼다면 깔끔하게 제거하는 법도 알아야 안전한 환경을 만들 수가 있어요.
그래서 오늘 곰팡이 예방 그리고 제거하는 방법 공유해보려고 해요^^
일단, 왜 생기게 되는지부터 알아두어야 하는데요. 그래야 반대가 되는 환경으로 만들 수가 있어요. 우선 곰.팡.이는 어두우면서 축축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것으로 실내 벽과 바닥, 음식 등에 자랄 수가 있어요. 이것이 만들어내는 유독물질도 1백 종류 이상이고 아플라톡신의 경우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니까 피해줄 수 있어야 해요.
| 곰팡이 예방하는 방법!
지금은 코시국이 잠잠해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불안감이 조성이 되어 있어요. 또 다른 바이러스가 언제 다시 나타날지 몰라서 긴장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거기다 미세먼지까지 심해졌기 때문에 평소 가정의 청정한 환경이 중요해요. 그렇기 때문에 이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첫 번째 : 환기를 해주어야 한다
장마라고 하더라도 맑은 공기와 햇빛이 좋은 날에는 창문을 열어주어야 해요. 그래야 집안에 머물렀던 습기가 날아가고 말려지면서 발생이 되고 번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가 있어요.
두 번째 : 보일러를 켜주어야 한다
특히 비가 온다는 소식이 들리면 보일러를 가동해줄 수 있어야 하는데요. 그래야 눅눅한 부분이 사라지고 자라나는 것을 막아줄 수가 있어요. 더울 정도로 가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살짝 데워준다라는 느낌으로 켜주면 된답니다.
세 번째 : 제습용품을 사용해야 한다
습기가 많이 생기는 곳에 숯, 신문지, 제습용품 등을 두는 것이 필요해요. 숯은 공기가 습할 때 습기를 흡입해주고 공기가 건조할 때는 다시 방출해줄 수 있어요. 그러니 평소 걱정되는 곳에 두면 곰팡이 예방이 가능하답니다.
신문제도 제습의 기능이 뛰어나요. 비가 오는 날 젖어버린 신발이 꿉꿉함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신발장에도 넣어주고 신발 속에도 끼워둔다면 냄새랑 습한 부분이 모두 제거가 될 수 있어요.
네 번째 : 벽과 가구 사이에 틈을 준다
벽과 가구가 붙어있게 되면 습기가 머물러 있다가 곰팡이가 쉽게 생기도록 할 수가 있어요. 그러니 떨어뜨려 놓아서 공기가 순환이 되도록 해야 하고 습해졌을 때에도 머무르지 않게 막아주어야 해요.
이렇게 곰팡이 예방을 위한 방법을 실천해준다면 미리 형성이 되고 퍼져나가는 것을 막아줄 수가 있습니다.
| 제거하는 방법!
실내에 생긴 경우에는 '벽'을 중심으로 많이 생기게 된답니다. 특히 바닥, 천장과 닿은 부분에서 많이 퍼져나간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럴 경우에는 없애기 위해서 전용으로 나온 제품을 사용해주어도 좋고 약 4L의 물에 표백제를 1컵 정도 부어주고 벽지 내부를 솔로 문지르면서 없애주어야 해요. 벽지 위만 닦아주게 된다면 다시금 새롭게 올라 올 수 있어서 콘크리트와 같은 표면에 솔을 통해서 제거할 수 있어야 해요.
'주방과 창틀'의 경우에는 실리콘 이음새에 생기게 되어서 그냥 닦아서는 없애지지가 않아요. 그러니 락스, 제거제를 분무기에 넣어주고 실리콘 부분에 직접적으로 뿌리고 티슈를 붙여준 뒤 불린다고 생각하고 하루 뒤에 떼어내면 깨끗해졌음을 볼 수 있어요.
'욕실 및 화장실'은 마른 수건을 소다를 푼 물에 적셔서 닦아주고 식초를 같이 사용해서 깨끗하게 해줄 수가 있어요. 또 깔끔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평소에 환풍기를 틀거나 문을 열어주어야 한다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한답니다!
이렇게 곰팡이 예방은 물론 제거하는 방법을 통해서 건강에 유의할 수 있는 요소가 없는 청정한 환경에서 살아가야 한답니다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전기세 절약하는 방법(누진제, 누진세 개념 알기) (0) | 2022.06.08 |
---|---|
공기청정 식물 종류와 관리방법♥ (0) | 2022.06.03 |
장애인 주차구역 과태료 및 신고방법 알아봐요 (0) | 2022.05.26 |
건강검진 대상자 및 기간연장하는 방법! (0) | 2022.05.25 |
신선하고 맛있는 과일로 잘 고르는 방법♥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