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인데요. 아무래도 지구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이를 보호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제정을 한 '지구환경보호의 날'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런 날이 포함된 달 인 만큼 분리수거를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해요.
그저 같은 봉투에 담아서 버리면 되겠지, 누군가 하겠지 하지만 그래서는 안 되는 사회의 약속과 같은 것이니까 잘 알고 지켜야 하겠죠?! 그런데 잘 하고 싶어도 헷갈리고 제대로 알지 못해서 실수하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오늘 품목 마다, 종류 마다 요목조목 설명해드릴 테니, 실수 없이 잘 해보자구요♥
아무래도 집에서 가장 많이 나오게 되는 것이 PET병, PP등의 용기라고 할 수 있어요. 그것부터 살펴보도록 할게요!
첫 번째, 플락스틱류 (PET병)
: 콜라, 주스, 생수병 등의 음료수병, 간장병, 식용유병 등이 있어요.
(1) 뚜껑을 먼저 제거해주고 내용물을 완전하게 비운 이후에 물로 헹구어서 분리수거 해주어야 합니다.
(2) 부착된 상표를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3) 압착을 해서 부피를 줄여주어야 합니다.
(4) 뚜껑의 재질을 잘 확인해주고 구분을 해주어야 합니다.
※ 표면을 보았을 때, 재질분류 표시가 1~6번으로 표시된 것에 한하여 배출해요!
※ 이제 무색, 유색을 따로 분리해주어야 한다는 것도 기억해주세요!
두 번째, 병류, 유리병류
: 드링크병, 맥주 또는 소주병, 약병, 기타 내용물을 담았던 유리병, 농약병, 유기용기류가 있어요.
(1) 뚜껑을 잘 보고 플라스틱, 알루미늄으로 된 것은 따로 배출해주어야 합니다.
(2) 병 속에 혹시나 이물질이 있지는 않은지 보고 깨끗하게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 유리병 중에서 유백색은 재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깨졌거나 도자기류, 내열식기류 등도 마찬가지 입니다.
※ 맥주와 소주, 청량음료 병의 경우 공병보증금제도가 실시되고 있으니, 슈퍼 또는 상점에 가서 보증금을 받고 교환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알루미늄 및 철류
: 양은, 스텐류, 알루미늄, 철사, 철판 등이 해당될 수 있어요.
(1) 식기류와 공구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잘 제거해준 이후에 부피를 줄여줍니다. 압착을 시켜주는 것이 좋은데요. 묶거나 재활용 봉투에 넣어서 배출하는 것이 팁!
※ 페인트와 오일 등의 유해물질이 묻어있다면 재활용이 안되어서 제외시켜야 합니다.
※ 부탄가스, 살충제 통 등은 구멍을 뚫어서 내용물을 제거해주고 분리수거 해주어야 합니다.
네 번째, 종이류 (종이팩)
: 우유 또는 주스를 담은 팩, 1회용 종이컵 등이 해당될 수 있어요.
(1) 내용물을 비워준 뒤에 물로 헹구어 줍니다.
(2) 납작하게 눌러서 말려주고 봉투에 넣거나 한데 묶어서 배출해줍니다.
※ 다른 종이류와 섞여서는 안됩니다.
※2022년 1월부터 일반팩과 멀균팩으로 분리배출 표시가 변경되어 이에 맞게 배출해주어야 합니다. 냉장보관이 필요한 우유, 주스 등에 사용한 '일반팩'과 상온보관이 가능한 우유, 두유, 소주 등에 사용한 '멸균팩'으로 구분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는 각각의 수거함에 버려주면 되니 꼭 구분을 해주세요!
이렇듯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나올 수 있는 것을 위주로 분리수거 팁을 알아보았는데요. 그 다음은 헷갈릴 수 있는 품목위주로 알아보도록 하겠어요!
스낵 즉 과자봉지는 '비닐류' 입니다. 다 먹고 나서 스티커와 테이프 등이 붙어있는 경우에 떼어내 주고 나서 비닐만 비닐류에 분리배출을 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만약 내용물에 해당하는 기름기 등이 들어가 있다면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일반쓰레기와 같이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칼은 분류하기에는 손잡이와 칼날 부분이 다르지만 재활용으로 배출해서는 안됩니다. 수거하고 선별하면서 사람이 다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러니 칼날을 신문지 또는 종이로 여러 겹 싸주어야 하고 테이프로 고정해서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봉투에 '칼'이라고 적어주어야 좋습니다.
또 간식, 다이어트 식단으로 자주 먹게 되는 바나나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일반쓰레기로 착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이는 농약사용이 많아서 이후에 동물용사료 또는 경작용 퇴비로도 재활용이 될 수 있다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단, 단단한 과일껍질은 일반 쓰레기 이니 구분해주세요! 그러니 바나나 껍질 꼭지부분은 일반쓰레기로 분리해주세요!
여기까지 살펴보고 제대로 분리수거를 해서 사회적 비용이 낭비되지 않게 그리고 지구가 아파하지 않게 노력해보자구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얼룩 제거 방법, 살림초보도 가능해요! (0) | 2022.05.04 |
---|---|
종이호일 활용방법 : 다양하게 쓰여서 주방 꿀템 등극! (0) | 2022.05.03 |
탄 듯 변해버린 스텐냄비 세척 & 관리방법 알아보기 (0) | 2022.05.02 |
야채 보관법 : 냉동일까? 냉장일까? 완벽 정리! (0) | 2022.05.01 |
유리병 세척하기 : 기름때 제거, 열탕소독! 쉽고 간단한 방법 총 정리!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