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아침엔 무조건 커피 한잔, 카페인 중독? (feat.금단증상)

반응형


안녕하세요 :D 오늘은 현대인들이 궁금해하고 고민할 수 있는 카페인 중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조차도 해당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찾아보게 된 내용인데요. 습관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금단증상 일 수도 있다라는 것에 다소 놀라기도 했습니다. 평소에 커피를 마시지 못하면 불안하기도 하고 뭔가 찝찝하고 머리가 아프다는 등을 겪고 있다면 읽어보시고 건강하게 섭취할 수 있는 방법도 알아가시면 좋겠습니다! 

커피 한 잔
커피를 얼마나 마셔야 카페인 중독?

| 내가 카페인 중독 일까? (체크해보기)

우선, "카페인 중독" 이라고 하는 것은 적정한 수준 이상으로 카페인을 섭취를 했을 때 나타나게 되는데요. 그래서 커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홍차, 초콜릿, 콜라 등도 해당이 됩니다.

의학적으로 들어가보면 수면을 불러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아데노신 수용체)을 억제해주는 것이라서 아드레날린, 도파민 등의 호르몬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그러면서 뇌로 가는 혈액의 흐름을 감소시키게 되고요. 이렇게 점차 뇌가 카페인이 필요하다라는 것을 금단현상으로 일으키게 됩니다.

그럼, 내가 이에 해당이 되는 것인지 체크를 해볼까요? 

 

✔ 안절부절하지 못하고 침착함을 잃어버린다
✔ 예민하며 신경질적이게 된다 
✔ 작은 일에 쉽게 흥분을 한다
✔ 잠에 쉽게 들지 못한다(불면)
✔ 소변량과 횟수가 늘었다 
✔ 소화불량, 속쓰림, 설사 등이 발생한다
✔ 근육경련이 발생한다
✔ 우울한 감정이 든다
✔ 말을 두서없이 하고 정리가 되지 않는다
✔ 집중하지 못하고 어수선하다 
✔ 얼굴이 상기되어 있으며 안면홍조가 있다 
✔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 한다 

위 12가지 중에서 5가지 이상에 해당이 된다면,

"나는 까페인 중독이다, 금단증상을 경험하고 있다" 라고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카페인의 적정량은? 


그렇다면 카페인 중독을 이겨내고 금단증상도 개선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의 권장량은 어느 정도 일까요?

한국인을 기준으로 해서 1일 섭취해야 하는 수준은 

- 성인 : 400mg 이하
- 임산부 : 300mg 이하
- 어린이 : 체중 kg 당 2.5mg 이하 

함유량을 예로 보여드리면 이해가 쉬울 것 같은데요.

- 아메리카노(300ml 기준) 70~150mg 
- 커피믹스 (1봉지 기준) 80mg 
- 녹차 한잔 (티백 1개 기준) 28mg 
- 에너지 드링크 (250ml 기준) 86mg 
- 콜라 (250ml 기준) 25mg 
- 초콜릿 (30g 기준) 16mg 

| 카페인 중독 대처, 개선법은?


✔ 물을 충분히 마셔준다
✔ 하루 최소 7시간 숙면한다
✔ 카페인을 피해준다 (디카페인으로 대체)

저는 디카페인을 섭취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하루에 적정수준 이상이 될 것 같다 싶으면 디카페인을 찾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 결과로도 금단증상에 도움이 된다라고 했는데요. 이는 플라시보 효과를 보는 것이고 인지하고 먹는다고 해도 맛과 냄새 등이 근접하기 때문에 완화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실제 섭취량을 점차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적정량 이상을 마시지 않도록 관리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