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 자고 일어나면 바뀌는 세상이고 따라가기에도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항상 하루, 하루가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 똑같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업무를 하거나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집중력도 떨어지고 다소 산만해지며 우울감이 느껴져서 내가 겪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걱정되기도 합니다. 혹시 성인 ADHD 인지, 번아웃 증후군인지 도통 알 수가 없어서 해결도 안되고 걱정만 쌓여가는데요. 그래서 오늘 번아웃에 대해서 깊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미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에서 직업과 관련하여 문제 형상으로 분류를 했으며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이 되었는데요. 그래서 나도 혹시 해당되지 않을까 고민된다면 오늘 체크해보시면 좋겠습니다.
| 나도 번아웃 증후군 일까?
개념부터 알아보자면, 이는 1970년대 미국의 정신분석가인 ‘프로이덴버’가 처음으로 정의를 내렸는데요. 타인을 돕는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심한 스트레스와 높은 이상을 가진 사람들 이라고 합니다. 희생을 하게 된 이후에 지치면서 기운을 소모해서 빠져 나오지 못한 상태를 말하는 것인데요. 즉 정신적으로 너무나 지친 것을 뜻하는 것입니다. 현대에서는 스트레스로 판단하고 업무능력과 열정이 다소 떨어진 것을 뜻할 때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개념은 잡을 수 있으나 정확한 증상과 이렇다 하는 정의를 내리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체크를 해보며 어느 단계까지 왔는지 확인해볼 순 있는데요.
▶ 처음 일을 시작한 상태이며 스스로 자신감과 높은 성취를 위한 열정을 가지고 있다 (열성 단계)
▶ 열정이 점차 사라지며 흥미가 떨어진다 (침체 단계)
▶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고 열정보다는 당장의 눈앞에 인사고과가 중요하다, 무가치성, 회피하고 싶다는 느낌이 든다 (좌절 단계)
▶ 스트레스가 이미 최고조이며 벅차다는 느낌과 흥미가 사라진 지 오래. 일은 일상을 유지하기 위함이고 퇴직과 이직을 생각한다 (무관심 단계)
이렇듯 번아웃 증후군은 자신이 생각하던 목표 및 기대와 사회적인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나타나게 되는 것인데요. 이러한 단계를 경험하게 된다면 워라밸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변화를 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나 자신에게 집중해서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데요.
그냥 방치하게 된다면 우울한 감정과 죄책감 등이 뒤섞이면서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면서 신체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는데요. 그러니 오늘 이겨낼 수 있는 방안도 알아가셔서 실천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번아웃 증후군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우선 쉬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 그러니 '자연을 즐겨야 합니다.' 아무런 생각 없이 앉아서 30분 이상 주변에 있는 나무와 꽃, 구름 등을 바라보는 것인데요. 이런 행동은 육체는 물론 정신적으로 밸런스를 맞추어주고 평온함을 만들어주게 됩니다. 그러면서 에너지를 다시금 회복하고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인데요. 그 다음으로는 '가볍게 운동을 시작합니다.' 운동은 신체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기부여를 가지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 됩니다.
또 엔도르핀이 나오게 되면서 스트레스를 줄여나갈 수 있게 해주는데요. 너무 격하지 않고 무리되지 않는 선에서 가볍게 걷고 산책하는 등으로 시작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 '숙면을 취해줍니다.' 잠이 부족하게 되면 휴식을 온전하게 하기 어렵고 다음 날 생활할 에너지를 회복하지 못하게 됩니다. 특히 잠을 자는 동안 가지고 있던 문제와 고민을 해결할 수도 있는데요. 그러니 편안하게 푹 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그렇게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취미를 가져봅니다.' 시도해보지 못했던 것이나 편하게 영화감상, 독서 등으로 편안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으며 사람을 만나는 것도 좋습니다. 그렇게 주변에 도움을 청하면서 교류를 하게 되면 불안함을 이겨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대화를 하면서 긍정적인 기운도 날 수 있습니다. 오늘 방법을 잘 실천한다면 번아웃 증후군을 극복해낼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질 떨어뜨리는 이명에 좋은 음식 (0) | 2022.04.21 |
---|---|
장염 빨리 낫는 법, 증상 알아보고 실천하기 (0) | 2022.04.20 |
셀룰라이트 진실과 제거방법 실천해보자 (0) | 2022.04.18 |
새치, 흰 머리와 다르다! 관리하는 방법! (0) | 2022.04.17 |
춘곤증 예방, 물리치는 방법으로 이겨내자! (0) | 2022.04.16 |